css 기본_1 (기본css, 선택자)

WEB 2021. 5. 3. 09:30

CSS; 단순한 웹페이지를 예쁘게 스타일링해보자! (Casacding Style Sheets)

  • 정보표현(HTML)(뼈대/) + 디자인(CSS)() 구성한 경우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을 건드리지 않고 디자인만 변경할 있음.(인형옷입히기로 생각해보면 )
    :
    정보와 디자의 분리 / 유지보수 편의 / 효율적으로 재사용 가능

 

웹페이지 : HTML(내용) + CSS(디자인) + Javascript(동적요소, 기능 부여)

 

Selector(선택자) , propery(스타일속성, value(속성)

  • 선택자: 내가 속성을 부여하고 싶은 하나의 주체

  • CSS head 영역에 사용됨. 보여질 필요가 없으며 단지 속성만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head영역에 작성하도록 함.
  • Head 영역에 <Style></style> 태그를 입력한 안에 작성하도록 함.
  • 바디에 여러개의 태그가 입력되어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속성을 부여하는 보다 style영역에서 css 이용해 속성을 부여하는 것이 편리하고 효율적임.

 

<폰트속성css>

  • Font: 요소가 화면에 보이는 방식 지정.

 

  • font-family 부분에 여러개의 글씨체가 써있는 경우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글꼴설치가 안되어있을 경우 차선책을 나타냄.

 

<선택자 종류>

  • 전체선택자 : * 표시되며 문서 모든 요소 선택하여 스타일 적용

 

  • 태그(타입)선택자: 요소를 선택하여 스타일 적용 ; 기존에 배웠던
  • 아이디선택자 : # 기호 표시되며 특정한 요소 선택, HTML구조의 공간분할을 적용할 , 고유값을 가지기때문에 중복으로 지정해주지 못함. 유일한 . 페이지내에서 아이디나 로고같은것을 지정할 사용.(디자인적인 요소로는 중복이 . 하지만 JS에서 페이지 오류가 발생함. )
  • 클래스선택자 : 마침표(.)기호 표시되며 특정한 요소 선택, 공통되는 스타일을 적용할 경우, 속성을 공유해서 중복이 가능
  • 계층선택자(Tree 구조)
  • 자식은 자손안에 포함되어있어서 자손이라고 표현해도 .

 

 

(예제)

Li~li>>첫번째 li뒤에 있는 모든 li 가져온다

 

 

자식관계인지 형제관계인지 확인하는 방법: 태그 안에 있는지(자식) 밖에 있는지(형제) 판단

<그룹선택자> : 콤마(,) 기준으로 여러가지 선택자를 섞어서 사용할 있음.

 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<device-width>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
    <style>
        h1{
            color : blue;
        }
        h2{
            color : yellow;
        }
    </style>
</head>
<body>
    <h1>안녕하세요</h1>
    <h2>Hello</h2>
</body>
</html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<p>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
    <style>
        p{
            font-family: "굴림, 돋음, 나눔고딕";
            font-size: 20px;
            font-weight: bold;
        }
    </style>
</head>
<body>
    <p>안녕하세요</p>
</body>
</html>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
    <style>
        ul{
            color:blue;
        }
        /*계층선택자(자식선택자) 사용하여 추가적인 코드 감소*/
        ol li{
            color : red;
        }
    </style>
</head>
<body>
    <details><!--화살표를 누르면 아래 리스트가 튀어나오는 details 태그-->
        <!--summary 태그; 제목과 같은 역할.리스트의 설명. details안에 따라옴-->
        <summary>올바른 개발자 생활</summary>
            <ul>
                <li>쉬는 시간에 5분정도 먼 곳을 바라본다.</li>
                <li>1시간마다 스트레칭을 한다.</li>
                <li>거북목이 되지 않도록 목을 편다.</li>
            </ul>
    </details>

    <strong>연수생 수칙</strong>

        <ol>
            <li class="rules">지각하지 않기</li>
            <li class="rules">결석하지 않기</li>
            <span>(불가피할 땐 꼭 담당연구원에게 미리 말하기)</span>
            <li class="rules">복습하기</li>
        </ol>
</body> 
</html
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웹크롤링(web crawling) 입문,기본  (0) 2021.05.03
css 기본_2 (stylesheet 명시도, 공간분할 기타 등..)  (0) 2021.05.03
html 기본 태그(tag)_2  (0) 2021.05.01
html 기본 태그(tag)_1  (0) 2021.05.01
html 기본  (0) 2021.05.01
admin